[씨줄날줄] 칠백의총 이름 줄다리기

  • 기사 소리로 듣기
    다시듣기
  • 글씨 크기 조절
  • 공유하기
  • 댓글
    0
서동철 기자
서동철 기자
수정 2025-09-22 00:21
입력 2025-09-21 23:55
이미지 확대


조계종에는 ‘영규대사 및 800의승 명예회복을 위한 특별위원회’가 있다. 지난 7월 회의에선 조윤호 부산대 교수를 전문위원으로 위촉했다. 조 교수는 중봉 조헌 선생 기념사업회에서도 이사로 활동하고 있다. 조 교수는 역사학자가 아니다. 초음파를 이용한 원전 안전 기술로 세계적 주목을 받는 기계공학부 교수다.

조 교수는 중봉 선생의 14대손이다. 그는 지난해 10월 영규대사와 의승군을 주제로 열린 세미나를 찾아 불교계에 고개를 숙였다. 그 한 달 전 칠백의총 순의제향에 의승 추모 의례가 포함된 것을 두고 문중이 반발한 것에 사과한 것이다. 그는 “문중 모두가 같은 뜻은 아니다. 의승 선양 필요성에 많은 분이 공감하고 있다. 칠백의총은 불교계와 함께 참배하는 곳이 돼야 한다”고 했다.

중봉과 700명 의병은 임진왜란 당시 금산전투에서 순국했다. 영규와 의승군도 큰 희생을 치렀다. 일각에선 순절한 의승이 800명에 이른다고 본다. ‘칠백의총’을 ‘천오백의총’으로 고쳐야 한다는 주장이 있었던 이유다. 불교계는 ‘금산의총’을 대안으로 제시하고 있다.

쟁점은 두 가지였다. 칠백의총 이름을 바꾸는 문제와 의승군을 기리는 승장사 복원 문제다. 몇몇 중봉 후손의 반발은 유교 사당인 종용사에서 불교 의례가 이뤄지는 데 따른 것이었다고 한다. 불교계도 지난해 시작된 불교 의례가 식순 후반부에 들어간 것에 불쾌감을 표했다. 그럼에도 이제는 유림과 불교계 모두 승장사 복원을 요구하고 있다. 이름을 바꾸는 문제는 아직 유림 내부에서 의견이 갈리는 것으로 알려진다.



칠백의총 443주년 순의제향이 내일 봉행된다. 금산전투가 있었던 1592년 8월 18일의 양력 환산일인 9월 23일 해마다 열린다. 이번엔 국가유산청이 승장사 복원의 구체적 계획을 공개하지 않을까 싶다. 시간은 걸리고 있지만 영원히 평행선을 달릴 것 같던 유림과 불교계가 접점을 찾아가고 있다. 조 교수 같은 이들의 노력이 있었기 때문일 것이다.

서동철 논설위원
2025-09-22 31면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
에디터 추천 인기 기사
많이 본 뉴스
닫기
원본 이미지입니다.
손가락을 이용하여 이미지를 확대해 보세요.
닫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