안성교육지원청, 저경력 교직원 관사 우선 배정·공급 확대
안승순 기자
수정 2025-09-22 21:19
입력 2025-09-22 21:19
임태희 교육감 “저경력 교직원 주거 문제, 적극 해결하겠다”
임태희 경기도교육감이 22일 안성 광덕교직원공동사택을 방문한 자리에서 “저경력 직원의 주거 문제를 적극 해결하겠다”라고 밝혔다. (경기도교육청 제공)
경기도안성교육지원청(교육장 이정우)은 저경력 교직원의 안정적인 근무 환경 조성을 위해 관사 공급을 확대하고 관련 제도 개선을 적극 추진한다고 밝혔다.
안성교육지원청은 ▲민간 아파트 임차 확대 ▲저경력 교직원 관사 우선 배정 ▲저경력 교직원 장기 거주 지원 등 선제적인 조치로 정주 여건을 개선하기로 했다.
안성시는 경기 남부 외곽에 자리 잡고 있어 대중교통이 불편하고 주거 환경이 열악해 신규 교직원들이 임용 2년여 만에 연고지로 전출하는 사례가 잦은 편이다. 이에 따라 안성교육지원청은 2024년 8월에 광덕 교직원 공동사택 40실을 준공해 입주를 마쳤고, 2025년 3월에는 민간 아파트 17세대를 임차해 신규 발령 교직원에게 제공했다.
하지만 2025년 3월 1일 기준 공동사택 입주 신청을 한 저경력 교직원 137명 중 82명이 탈락하는 등 공동주택 입주 수요를 감당하기에는 공급 부족한 상황이다.
이런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안성교육지원청은 2026년부터 안성 시내 민간 아파트 15~20세대, LH 행복주택 10세대를 임차해 총 60여 명의 교직원에게 제공할 계획이다.
광덕 교직원 공동사택(경기도교육청 제공)
안성교육지원청은 또 저경력 교직원이 지역에 안정적으로 정착할 수 있도록 제도 개선을 병행한다. 현재 2년으로 제한된 관사 사용 기간을 최장 5년까지 연장할 수 있도록 관련 규정을 개정하고, 저경력 교직원이 우선 배정받을 수 있게 할 예정이다.
임태희 교육감은 22일 안성교육지원청에서 관사에 거주하는 저경력 교직원들과 간담회를 갖고 관사 만족도, 근무 환경, 건의 사항 등을 들었다.
임 교육감은 이 자리에서 “경기도교육청은 저경력 교직원의 근무 환경에서 가장 비용이 많이 드는 ‘주거 문제’만큼은 적극 해결해보자는 생각으로 제도를 개선하고 있다”며 “관사는 물론 맞춤형 복지 확대, 저금리 대출 등 개선된 여러 가지 제도를 활용해달라”고 말했다.
이어 “보람 있는 일이라고 스스로 생각할 때 힘든 것도 이겨낼 수 있다”면서 “교육과 교육행정은 애정이 있어야만 할 수 있는 일이기에 저경력 교직원 여러분이 교육활동에 전념할 수 있도록 더욱 안정적으로 지원하겠다”라고 강조했다.
안승순 기자

경기도안성교육지원청(교육장 이정우)은 저경력 교직원의 안정적인 근무 환경 조성을 위해 관사 공급을 확대하고 관련 제도 개선을 적극 추진한다고 밝혔다.
안성교육지원청은 ▲민간 아파트 임차 확대 ▲저경력 교직원 관사 우선 배정 ▲저경력 교직원 장기 거주 지원 등 선제적인 조치로 정주 여건을 개선하기로 했다.
안성시는 경기 남부 외곽에 자리 잡고 있어 대중교통이 불편하고 주거 환경이 열악해 신규 교직원들이 임용 2년여 만에 연고지로 전출하는 사례가 잦은 편이다. 이에 따라 안성교육지원청은 2024년 8월에 광덕 교직원 공동사택 40실을 준공해 입주를 마쳤고, 2025년 3월에는 민간 아파트 17세대를 임차해 신규 발령 교직원에게 제공했다.
하지만 2025년 3월 1일 기준 공동사택 입주 신청을 한 저경력 교직원 137명 중 82명이 탈락하는 등 공동주택 입주 수요를 감당하기에는 공급 부족한 상황이다.
이런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안성교육지원청은 2026년부터 안성 시내 민간 아파트 15~20세대, LH 행복주택 10세대를 임차해 총 60여 명의 교직원에게 제공할 계획이다.

안성교육지원청은 또 저경력 교직원이 지역에 안정적으로 정착할 수 있도록 제도 개선을 병행한다. 현재 2년으로 제한된 관사 사용 기간을 최장 5년까지 연장할 수 있도록 관련 규정을 개정하고, 저경력 교직원이 우선 배정받을 수 있게 할 예정이다.
임태희 교육감은 22일 안성교육지원청에서 관사에 거주하는 저경력 교직원들과 간담회를 갖고 관사 만족도, 근무 환경, 건의 사항 등을 들었다.
임 교육감은 이 자리에서 “경기도교육청은 저경력 교직원의 근무 환경에서 가장 비용이 많이 드는 ‘주거 문제’만큼은 적극 해결해보자는 생각으로 제도를 개선하고 있다”며 “관사는 물론 맞춤형 복지 확대, 저금리 대출 등 개선된 여러 가지 제도를 활용해달라”고 말했다.
이어 “보람 있는 일이라고 스스로 생각할 때 힘든 것도 이겨낼 수 있다”면서 “교육과 교육행정은 애정이 있어야만 할 수 있는 일이기에 저경력 교직원 여러분이 교육활동에 전념할 수 있도록 더욱 안정적으로 지원하겠다”라고 강조했다.
안승순 기자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