카이스트 최연소 교수마저 중국행…국내 두뇌 유출 가속화

  • 기사 소리로 듣기
    다시듣기
  • 글씨 크기 조절
  • 공유하기
  • 댓글
    0
김유민 기자
김유민 기자
수정 2025-09-24 10:54
입력 2025-09-24 10:35

통신 분야 국내 최고 권위자 송익호 교수
정년 후 청두 UESTC 부임...석학들 中행

이미지 확대
송익호 카이스트 교수, 중국 전자과학기술대. 카이스트 홈페이지, 연합뉴스
송익호 카이스트 교수, 중국 전자과학기술대. 카이스트 홈페이지, 연합뉴스


한국과학기술원(카이스트) 최연소 임용 기록을 세웠던 국내 통신 분야 최고 권위자가 미국 제재명단에 오른 중국 대학으로 자리를 옮기면서 국내 석학들의 ‘중국행’ 논란이 재점화되고 있다.

23일 과학기술계에 따르면 통신 및 신호처리 분야 석학인 송익호 카이스트 전기및전자공학부 명예교수가 최근 중국 청두 전자과학기술대(UESTC) 기초 및 첨단과학연구소 교수로 부임한 것으로 확인됐다.

송익호 교수는 1982년 서울대 전자공학과를 졸업하고 미국 펜실베이니아대에서 전기공학 박사 학위를 받은 뒤 1988년 28세의 나이로 카이스트 조교수에 임용되며 당시 최연소 기록을 세웠다. 이후 37년간 카이스트에서 연구하며 한국과학기술한림원과 국제전기전자공학회(IEEE) 석학회원을 지내는 등 국내외적으로 연구 업적을 인정받아온 인물이다.

특히 그가 부임한 UESTC는 전자전 무기 설계 소프트웨어와 전장 에뮬레이터 등 군사 응용 가능 기술을 개발한다는 이유로 2012년 미국 상무부의 ‘수출규제 명단’에 오른 대학이어서 논란을 키우고 있다.

홍콩 사우스차이나모닝포스트(SCMP)에 따르면 송익호 교수는 이직 배경에 대한 언급을 거부했으나, 지난 2월 카이스트에서 정년 퇴임한 점을 고려할 때 연구 지속을 위한 이직으로 풀이된다.

카이스트에는 70세까지 강의나 연구를 이어갈 수 있는 ‘정년 후 교수’ 제도가 있지만 연간 3억 원 이상의 연구과제를 수주해야 한다는 까다로운 조건이 있는 것으로 알려졌다.

실제로 국내에서는 지난해부터 정년을 마친 석학들의 중국행이 가속화되고 있다. 이기명 전 고등과학원 부원장, 이영희 성균관대 석좌교수, 홍순형 카이스트 명예교수, 김수봉 전 서울대 교수 등이 정년 퇴임 후 잇따라 중국 대학이나 연구기관으로 자리를 옮겼다.

과기한림원이 지난 5월 정회원 200명을 대상으로 실시한 설문조사 결과도 이런 현실을 뒷받침한다. 응답자의 61.5%가 최근 5년 내 해외 연구기관의 영입 제안을 받았다고 답했으며, 이 중 82.9%가 중국 기관의 제안이었다.

특히 65세 이상 연구자의 72.7%가 영입 제안을 받았고, 이들 중 51.5%는 이를 긍정적으로 검토했다고 밝혔다. 국내 리더급 연구자 두뇌 유출 이유로는 ‘정년 후 석학 활용제도 미비’를 꼽는 이들이 82.5%로 가장 많았다.

국내외 학계에서는 정년을 마친 석학들의 잇따른 중국행에 우려를 표하며, 국내에서도 이들을 적극 활용할 수 있는 제도적 보완이 시급하다는 지적이 나오고 있다.

김유민 기자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
에디터 추천 인기 기사
많이 본 뉴스
닫기
원본 이미지입니다.
손가락을 이용하여 이미지를 확대해 보세요.
닫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