계엄군 동원됐다가 부대 폐지 ‘날벼락’…방첩사, 참모장 직무대리 임명

  • 기사 소리로 듣기
    다시듣기
  • 글씨 크기 조절
  • 공유하기
  • 댓글
    0
류재민 기자
류재민 기자
수정 2025-08-29 11:26
입력 2025-08-29 11:26

한진희 해군 준장…해사 52기 출신
국정위 폐지 권고에 부대 격하 수순

이미지 확대
지난해 12·3 비상계엄 당시 헬기를 타고 국회에 진입하는 계엄군. 2024.12.3 도준석 전문기자
지난해 12·3 비상계엄 당시 헬기를 타고 국회에 진입하는 계엄군. 2024.12.3 도준석 전문기자


국군방첩사령관 참모장 직무대리에 한진희 해군 준장이 임명된 것으로 29일 파악됐다. 방첩사령관 직무대행에 편무삼 육군 준장이 발탁된 지 열흘 만의 인사다.

한 준장은 해군사관학교 52기 출신으로 세종대왕급 이지스구축함 서애류성룡함 부장, 충무공이순신급 구축함 최영함 함장, 문재인 정부 시절 청와대 국가안보실 행정관 등을 지냈다. 최근에는 해군사관학교 해양연구소에서 정책 연수 중이었다.

방첩사는 지난해 12·3 비상계엄 당시 출동했다가 국정기획위원회로부터 폐지 계획을 통보받은 바 있다. 국정기획위는 지난 13일 이재명 정부의 국정 운영 청사진을 공개하면서 “방첩사는 폐지하고, 필수 기능은 분산 이관한다“고 밝혔다.

사령관에 이어 참모장까지 직무대행 인사를 내면서 방첩사 조직개편이 본격적으로 이뤄질 것이란 전망이 나온다. 방첩 업무의 중요성과 특수성을 고려할 때 실제 폐지까지 이어질지는 미지수지만 수사 기능은 국방부 조사본부로, 보안 기능은 국방정보본부로 이관하는 방식이 될 것으로 보인다.

최근 연이은 인사는 기존에 사령관이 중장인 방첩사의 급을 낮추는 수순으로 풀이된다. 편 준장을 곧 소장으로 진급시켜 사령관에, 한 준장을 참모장에 임명하면 자연스럽게 방첩사는 소장급 지휘부대로 격하되고 장군 보직도 기존 7개에서 2개로 줄어들 것이라는 전망이다.

앞서 국방부도 지난 25일 국회 국방위원회 현안 보고에서 정보기관을 본연의 임무 수행에 최적화된 조직으로 개편하겠다며 방첩사에는 방첩 기능만 남기고 주요 기능별로 업무를 이관 또는 폐지하겠다고 밝힌 바 있다.

류재민 기자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
에디터 추천 인기 기사
많이 본 뉴스
닫기
원본 이미지입니다.
손가락을 이용하여 이미지를 확대해 보세요.
닫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