극장 안 환상과 극장 밖 현실을 넘나들다[영화 리뷰]

  • 기사 소리로 듣기
    다시듣기
  • 글씨 크기 조절
  • 공유하기
  • 댓글
    0
이은주 기자
이은주 기자
수정 2025-09-23 02:14
입력 2025-09-23 02:14

BIFF 초청작 ‘극장의 시간들’

이미지 확대
‘극장의 시간들’
‘극장의 시간들’


모두가 극장의 위기라고 말한다. 시대 변화에 따라 극장의 쇠퇴는 어쩔 수 없는 흐름이라고 말하는 이들도 있다. 하지만 우리는 극장에서 울고 웃으며 보낸 시간들을 기억하고 있다. 극장은 다른 사람의 인생을 보여 주는 통로이자 때로는 어디로인가 숨고 싶을 때 찾는 공간이기도 하다.

제30회 부산국제영화제 ‘한국영화의 오늘-파노라마’ 부문에 초청된 작품 ‘극장의 시간들’(사진)은 영화와 극장, 관객이 맺는 특별한 관계를 그린다. 지난 20일 영화제를 찾은 이재명 대통령과 김혜경 여사가 이 작품을 관람하고 감독 및 배우들과 함께 ‘관객과의 대화’에 참여해 화제를 모으기도 했다.

‘극장의 시간들’은 이종필 감독의 단편 ‘침팬지’와 윤가은 감독의 단편 ‘자연스럽게’를 엮은 앤솔러지 형식의 작품이다. 내년 상반기 개봉 예정으로 국내에서 가장 오래된 예술영화관인 씨네큐브 개관 25주년을 맞아 제작됐다.

첫 번째 에피소드 ‘침팬지’는 2000년 광화문에서 우연히 만나 미스터리한 침팬지 이야기에 빠져드는 세 영화광의 이야기를 그린다. 이들에게 극장은 함께 영화를 보고 이야기하며 추억을 나누는 공간이다. 영화를 보고 눈물 흘리며 감정을 주체하지 못해 극장 앞을 서성이기도 한다.

시간이 흘러 혼자 남겨진 고도(김대명)는 극장에서 친구들과 함께한 시간을 기록한다는 마음으로 영화 ‘침팬지’를 연출한다. 결국에는 함께 나눈 이야기가 아니라 극장에서 보낸 시간들이 남는다는 영화의 메시지가 긴 여운을 남긴다. 김대명과 원슈타인, 이수경, 홍사빈이 극장 밖의 현실과 극장 안의 환상을 넘나드는 감정을 섬세하게 보여 준다.

두 번째 에피소드 ‘자연스럽게’는 아역 배우들과 감독이 영화 촬영 현장에서 연기를 위해 진지하게 분투하는 과정을 그렸다. 영화 ‘우리집’, ‘우리들’을 통해 인간 관계의 미묘한 결을 그려 낸 윤 감독은 자연스러운 연기를 선보이기 위해 등장 인물들이 고민하고 성장하는 순간을 사실적으로 담아 낸다. 고아성이 감독 역을 맡아 현장에서 펼쳐지는 갈등과 우정을 입체적으로 표현한다.



부산을 찾은 윤 감독은 “우리가 영화에서 자연스럽게 보는 것이 어떤 방식으로 연출되는지와 그 안에서 어떤 고민을 해 나가는지를 보여 주고 싶었다”면서 “관객들에게 제작진으로 넘어오는 경험을 전달하고 싶었다”고 소개했다. 영화를 좋아해 청소년 시절부터 극장을 자주 드나들었다는 그는 “극장은 개인적이면서도 이상할 만큼 놀라운 공동체적 경험을 하는 공간”이라면서 “저에게는 일터이자 놀이터, 도피처이기도 하고 삶을 환기하게 만드는 곳”이라고 말했다.

부산 이은주 기자
2025-09-23 34면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
에디터 추천 인기 기사
많이 본 뉴스
닫기
원본 이미지입니다.
손가락을 이용하여 이미지를 확대해 보세요.
닫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