中, 한·미 조선업 협력 경고… “韓, 곤경에 처할 수도”

문경근 기자
수정 2025-08-19 17:45
입력 2025-08-19 17:45

중국이 한국과 미국의 조선업 협력과 관련해 경고했다.
중국 관영 매체 글로벌타임스는 지난 18일 논평에서 미국 상원의원이 한국과 일본을 방문해 자국 조선업 강화를 위해 동맹국을 활용할 방안을 모색하고 있다는 AP통신의 보도를 인용하며 한미 협력을 비판했다.
중국 관영 매체의 보도는 사실상 중국 정부의 입장을 대변하는 것이어서 향후 중국의 간섭이 현실화할 것이란 우려가 나온다.
앞서 한국은 관세 협상과 관련해 미국에 조선업 패키지 협력 방안인 이른바 ‘마스가’(MASGA·미국 조선업을 다시 위대하게)를 제안했다.
글로벌타임스는 미국이 자국 해군의 비전투 함정 건조·수리를 위해 한국과 합작 투자 가능성을 검토하고 있는 점을 거론하면서 “비전투 함정이 포함됐다고 보도됐지만 이 함정들은 미 해군에 사용되기 때문에 넓게는 방위산업의 일부로 간주할 수 있다”고 했다.
이어 “이러한 상황은 어느 정도 미국이 이들 두 주요 조선국을 자국의 방어 틀에 끌어들이기 위한 전략적 전술로 볼 수 있다”며 “미국은 조선 분야 협력을 모색함으로써 한·일의 기술 전문성과 재정 투자를 활용해 전략적 군사 목표를 달성할 뿐 아니라 잠재적 위험을 초래할 수 있다”고 했다.
그러면서 “한국이나 일본의 로고가 새겨진 이러한 제품들이 제3국을 상대로 한 미군의 작전에 활용될 경우 한국이나 일본에 잠재적으로 문제를 일으킬 수 있다”면서 “이들 두 국가는 이 같은 시나리오를 경계해야 할 것”이라고 경고했다.
또 “미국은 자국의 역량을 강화하려고 노력하지만 이런 접근 방식은 한국과 일본의 이익과 일치하지 않을 수 있다”며 “한국과 일본의 입장에서는 미국에 대한 투자를 늘리고 자국의 인재·기술·자본을 미국 조선업의 성장으로 전환하는 것이 반드시 수익성 있는 사업은 아닐 수도 있다”고 했다.
앞서 AP통신은 미국의 태미 덕워스·앤디 김 상원의원이 한국과 일본을 방문해 양국의 최대 조선업체들을 만날 계획이라고 지난 17일 보도했다.
이번 방문과 관련해 덕워스 의원은 미군과 미국 기업, 외국 기업 간의 합작 투자를 통해 미군을 위한 보조 함정과 소형 선박을 제조하고 인도·태평양 지역에서 미국 선박을 수리할 수 있게 되기를 희망한다는 뜻을 내비쳤다고 통신은 전했다.
글로벌타임스는 지난달 30일에도 “한국의 조선 패키지 제공은 미국에 대한 의존도를 높일 위험이 있다”고 우려했다.
문경근 기자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