불볕더위와 열대야가 이어지는 대도시의 여름은 버티기 쉽지 않다. 어느 날 무작정 강원도 정선으로 떠났다. 아이들은 병방치 고개에서 아우라지를 향해 집라인을 타고 내려가며 신이 났지만 더위는 여전했다. 바깥 더위를 피하려고 서둘러 아리랑센터로 발걸음을 옮겼다. 마침 토요 상설 공연이 열리는 날이었다. 일제강점기 민초의 삶을 소재로 한 뮤지컬 ‘떼군’을 보며 구성진 정선아라리를 들을 수 있었다. 뗏목 타는 일의 고단함과 온갖 세파에 시달리는 삶의 모습이 고스란히 느껴졌다.
아리랑은 ‘아리랑’이 후렴구로 들어가는 모든 노래를 일컫는 말로 팔도에는 서로 다른 가락의 아리랑이 전해진다. 각 지역의 특수성을 담은 대중적인 노래로서 아리랑은 백여 종에 이르며, 가사도 만여 수가 넘는다고 한다. 집으로 돌아와서도 여러 아리랑을 들으며 여름밤을 보냈다. 민족의 역사와 자연환경이 아리랑의 바탕을 이룬다면 여기에 지역의 정서와 사연이 더해져 비로소 노래는 완성된다. 아리랑은 그 다양한 어원만큼이나 지역과 가창자마다 서로 다른 울림을 전하지만 후렴에 이르면 한결같이 마음을 북돋운다.
후렴구의 의미를 하나로 규정할 순 없지만 고개를 넘는다는 의미에서 노동요 성격이 강하며 임을 그리는 애원의 정서도 담고 있다. 무엇보다 아리랑은 고된 감정과 마음앓이를 드러내되 거기서 멈추지 않는다. 마음 한 자락을 붙들고 다 같이 손잡고 극복하고자 하는 간절한 바람을 품는다. 그런 의미에서 아리랑은 지극한 슬픔을 드러내면서도 절제된 비장미를 지닌 노래다. 물론 신명 나는 빠른 아리랑도 있다. 길고 짧은 아리랑, 새로 만들어지는 아리랑 속에는 변화하는 우리의 삶의 애환이 고스란히 스며 있다.
높고 굽이진 산이 많은 한반도에서 민중은 아리고 쓰린 감정의 주체였다. 역사의 흐름 속에서 고통과 핍박을 벗어나기 위한 투쟁과 더불어 다른 세계를 향한 염원도 강하게 드러내며 쓰러지고 일어나기를 반복했다. 그 와중에 어찌할 수 없는 삶의 국면에 이르면 아리랑이 절로 터져 나왔을 것이다. ‘아라리요’를 흐느끼는 목소리에는 인간적 고통과 초월적 힘이 동시에 깃들어 있다. 아리랑은 삶에 밀착된 노래로서, 민중들이 삶에서 마주하는 수많은 ‘고개’를 넘어가기를 염원하며 아라리에 공동의 운명을 싣는 노래라 할 수 있다.
우리 사회에는 자기 잘못을 인정하지 못하고 끝까지 그 가능성조차 받아들이지 못하는 사람들이 있다. 공동선에 대한 무관심은 자신의 지식과 권위가 전부라는 환상에서 비롯되며, 이는 지적 탐구와 절제의 태도가 결여돼 있음을 드러낸다. 아리랑이 다양하게 변주 구전되는 것은 민중이 자신들의 변화하는 삶을 직시하고 기꺼이 수용하기 때문일 것이다. 그래서 ‘아리리요’는 민중의 유연성을 보여 주는 구절이라 할 수 있다. 가릴 것과 숨길 것이 많은 사람은 몸과 마음이 뻣뻣하다. 아라리가 심히 부족하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