바닷새들은 왜 날아다니면서 똥 쌀까 [달콤한 사이언스]

유용하 기자
수정 2025-08-19 14:00
입력 2025-08-19 14:00

일본 도쿄대 제공
구아노는 강우량이 적은 건조지대에서 새들의 배설물이 퇴적, 응고돼 화석화된 것이다. 산호초나 무인도 바위에 바닷새들이 생활하면서 쌓인 분변 퇴적물인데, 질소, 인 같은 무기질 함량이 높아 비료로 많이 쓰인다. 구아노 주요 산지는 남미와 오세아니아 지역인데, 19세기 말에는 구아노 때문에 전쟁까지 벌어졌다.
최근 해양학자들이 바닷새들의 독특한 배설 습관을 발견해 눈길을 끈다. 일본 도쿄대 대기해양 연구소, 프랑스 라로셸대 생물학 연구센터 공동 연구팀은 바닷새들은 물 위에 떠 있을 때나 섬에 있을 때가 아니라 날아다니는 동안 배설한다는 사실을 발견했다. 이번 연구 결과는 생명과학 분야 국제 학술지 ‘커런트 바이올로지’ 8월 19일 자에 실렸다.
바닷새들의 배설물은 높은 질소와 인 함량 때문에 토양을 풍요롭게 하고 연안 바다를 비옥하게 만든다. 이런 영양분 높은 분변이 육상 생태계에 어떤 영향을 미치는지 연구가 많이 됐지만, 바닷새들이 대부분의 시간을 보내는 먼바다에는 어떤 영향을 미치는지 잘 알려지지 않았다.
이에 연구팀은 슴새(streaked shearwaters) 15마리의 배에 지우개 크기의 카메라를 부착해 약 200건의 배설 기록을 분석했다. 슴새와 그 친척 새들은 지구상 4억 2000만 마리 정도가 서식하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조사 결과, 슴새들은 항상 날아다니는 동안 배설하며, 이륙 직전에 배설하는 경우가 많다는 것을 발견했다. 물 위에 떠 있다가도 배설을 위해 이륙했다가 배설 후 1분 이내에 다시 물로 돌아오며, 배설 행위는 비행 중에 4~10분 간격으로 행하는 것이 관찰됐다. 이는 바닷새들은 의도적으로 물 위에 떠 있을 때 배설을 피하는 것을 의미한다고 연구팀은 설명했다. 비행 중에 배설하는 슴새의 습관은 새들이 깃털이 배설물로 더러워지는 것을 방지하고, 포식자를 끌어들이는 것을 피하며, 물에 떠 있을 때보다 배설하기 훨씬 쉬운 자세가 되기 때문이라고도 덧붙였다. 새들은 시간당 약 30g의 배설물을 배출하고, 이는 체중의 약 5%에 해당한다. 새들의 배설물은 먼바다를 비옥하게 만들어 플랑크톤과 다른 해양 생물에 영양분을 공급한다.
연구를 이끈 사토 카즈후미 도쿄대 교수(행동 생태학)는 “처음에는 바닷새들의 이륙 방법에 관심을 가졌지만, 비행 중에 자주 배설한다는 사실을 보고 해양 생태학적으로 흥미롭고 중요한 사실이라는 점에 착안해 연구에 착수했다”며 “바닷새들의 배설 패턴과 리듬을 좀 더 추적조사해 배설물 지도를 작성할 예정”이라고 말했다.
유용하 과학전문기자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