5년간 교정기 꼈는데…치아 8개에 구멍 ‘뻥뻥’ 이유 있었다
하승연 기자
수정 2025-08-27 22:00
입력 2025-08-27 22:00

5년간 치아 교정 치료를 받아 온 중국의 한 20세 여성이 구강 위생 관리가 제대로 이뤄지지 않아 치아 8개에 구멍이 뚫린 사연이 알려져 충격을 주고 있다.
26일(현지시간) VN익스프레스 등에 따르면 중국 랴오닝성에 사는 여성 왕(20)씨는 지난 2020년 8월 약 9000위안(약 175만원)을 들여 교정 치료를 시작했다.
그러나 교정 3년 차부터 왕씨의 치아에 검은 반점이 나타났음에도 담당 치과의사는 “교정 장치를 제거한 뒤 함께 치료하자”며 별다른 조처를 하지 않았다.
이 과정에서 교정 중 치아가 원하는 위치로 움직이지 않고 앞니 신경이 노출되는 등의 문제가 발생했지만, 담당 의사의 장기 병가로 치료는 지연됐다.
이에 왕씨는 2023년 다른 치과로 옮겼고, 3달 만에 치아 배열 문제는 해결됐다. 그러나 최근 5년 만에 교정 장치를 제거한 왕씨는 치아 8개가 심각하게 썩었다는 사실을 알게 됐다. 결국 왕씨는 신경 치료를 받은 것으로 전해졌다.
그는 “원래 치아가 약한 데다, 양치질을 하루 2번만 하고 식사 후에는 물이나 구강청결제로 헹구는 정도로 관리했다”며 “구강 세정기 같은 보조 도구의 필요성을 알지 못했다”고 털어놨다.

전문가들은 교정 장치가 치아 표면에 다양한 사각지대를 만들어 음식물 찌꺼기가 잘 끼고, 이에 따라 세균 증식과 충치가 빠르게 진행될 수 있다고 지적했다.
한 전문가는 “교정 환자는 하루 3번, 식사 후 반드시 칫솔질해야 한다”며 “교정 전용 칫솔과 치간 칫솔, 구강 세정기를 함께 사용해 장치 주변과 잇몸 경계 부위까지 철저히 관리해야 한다”고 강조했다.
이어 “불량한 구강 위생 관리로 10대 환자의 교정을 중단해야 했던 사례도 있다”며 “철저한 자기 관리가 치료 성공의 핵심”이라고 덧붙였다.
전문가들은 불소가 함유된 치약 사용과 정기적인 불소 도포, 단 음료·탄산음료·끈적거리는 음식 섭취 제한 등으로 교정 동안의 치아 손상을 예방할 수 있다고 권고했다.
교정 장치가 붙어 있는 부분을 닦을 때는 칫솔을 비스듬히 위치시켜 좌우로 여러 번 닦아줘야 하며, 너무 세게 힘을 줘 닦기보다는 손을 진동하듯이 움직이며 부드럽게 닦아주는 것이 좋다.
하승연 기자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