인구 다양성 5년간 8% 확대… 안산·김포·시흥 전국 최고

이현정 기자
수정 2025-07-02 23:43
입력 2025-07-02 23:43
이주가정 늘어 6세 이하 45% 급등
상승폭은 인천·대전·전남 순 높아
외국인 밀집한 농공단지·농촌 증가
인구 다양성 지수는 한 지역이나 집단 내 인종·종교·문화적 특성이 다른 인구가 얼마나 균등하게 분포하고 있는지를 수치화한 지표다. 연구진은 2018~2022년 인구총조사 등 행정자료를 활용했는데 1에 가까울수록 다양성이 높음을 의미한다.
2018년 기준 전국 평균 인구 다양성 지수는 0.0527이었고 2022년에는 0.0568로 약 7.8% 상승했다. 이 중 6세 이하 영유아의 지수는 0.0419에서 0.0609로 45.3% 급등, 가장 큰 상승 폭을 보였다. 전체 출생아 수가 줄어드는 상황에서 이주 가정의 출산 비중이 상대적으로 증가하고 있음을 시사한다.
지역별로는 인천이 21.96% 상승하며 가장 큰 증가폭을 보였고 대전·전남·전북·강원·대구도 두 자릿수 상승률을 나타냈다. 반면 세종은 9.49% 하락했고 서울도 소폭(-0.92%) 감소했다. 보고서는 “외국인 근로자와 이주민이 밀집한 농공단지와 비수도권 농촌 지역에서 다양성 증가가 뚜렷했다”고 분석했다.
읍면동 단위로는 경기 안산시 단원구 원곡동이 0.735로 전국 최고였고 김포 대곶면, 안산 선부2동, 시흥 정왕1동, 화성 양감면 등이 뒤를 이었다. 서울에선 대림2동이 0.650으로 가장 높았다.
보고서는 인구 다양성 지수가 가장 빠르게 상승한 연령대가 영유아·아동층이라는 점에 주목하며 “유아교육, 언어 지원, 보육 인프라 확충이 시급하다”고 강조했다. 또한 이주 인구가 지역소멸을 막는 데 기여하는 만큼 농어촌에 일자리와 교육·문화 프로그램을 함께 마련해 지역 활력을 키워야 한다고 제언했다.
세종 이현정 기자
2025-07-03 10면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