北, 트럼프의 화해 손짓에도 “미국의 침략 야망 변치 않아”

문경근 기자
수정 2025-07-03 09:54
입력 2025-07-03 09:54

북한이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의 화해 제스처에도 대미 비난을 통한 신경전을 이어가는 모양새다.
노동당 기관지 노동신문은 3일 ‘미제의 대조선 침략 야망은 절대로 변하지 않는다’ 제목의 기사에서 6·25전쟁 이후 수십년간 진행된 여러 한미연합연습을 거론하며 “미제의 대조선(대북) 침략 야망은 예나 지금이나 달라진 것이 하나도 없다”고 주장했다.
신문은 “지금도 미국은 이전의 대조선 적대시 정책을 그대로 답습하면서 조선반도 지역에 전략자산들을 상시 배치 수준에서 투입하고 있다”며 “우리의 안전상 우려를 무시하고 정세를 악화시키는 도발 행위들을 상습적으로 감행하고 있다”고 전했다.
이어 “우리는 강해지고 또 강해져야 한다”며 “힘이 약한 탓에 침략의 대상이 돼 고스란히 얻어맞고 처참한 굴욕을 당하지 않으면 안 된 일부 나라들의 실태가 이를 실증해주고 있다”고 밝혔다.
그러면서 “우리가 국방력 강화에서 이미 이룩한 성과들에 자만하여 잠시나마 정체한다면 안전 환경이 위태로워지고 우리 국가가, 우리 인민의 생활이 위협적인 상황에 직면할 수 있다”고 말했다.
또 “우리 국가가 핵강국으로 솟구쳐올라 미국의 세계 전략의 중심 고리로 되는 동아시아 지역에서의 세력 판도가 근본적으로 달라졌다”며 “제국주의의 지배 체계에는 커다란 파열구가 났다”고 전했다.
앞서 트럼프 대통령은 김정은 북한 국무위원장을 언급하며 화해의 손짓을 보낸 바 있다.
트럼프 대통령은 지난달 27일 “나는 김정은과 정말 잘 지내왔고, 그래서 어떻게 될지 지켜봐야겠다”면서 “누군가 이것을 잠재적 갈등이라고 얘기한다. 나는 (갈등이 있다면) 우리가 해결할 것이라고 생각한다”고 말했다.
한편, 오는 10월 한국 한국에서 열리는 아시아태평양경제협력체(APEC) 정상회의 계기에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이 방한하면 그가 판문점에서 다시 김정은 북한 국무위원장과 만날 가능성도 거론됐다.
빅터 차 미 전략국제문제연구소(CSIS) 한국 석좌는 지난달 30일 미국의 대이란 공습이 북한·중국·러시아에 미친 영향을 주제로 개최한 온라인 세미나에서 “북한이 미국의 벙커버스터 공격을 면할 목적으로 협상에 나설 가능성이 있다”면서 “이번 미국의 대이란 공격이 북미대화의 공간을 창출할 것”이라며 이같이 전망했다.
문경근 기자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