방사능 유출 없나?…우크라군, 의문의 폭발 사고 체르노빌 원전 점검 [핫이슈]

박종익 기자
수정 2025-09-01 10:10
입력 2025-09-01 10:10

세계 최악의 원전 사고를 겪은 체르노빌 원자력발전소의 안전 상태를 점검하는 모니터링이 진행됐다. 지난 31일(현지시간) 우크라이나 참모본부는 군 방사선 관련 부대가 체르노빌 출입금지구역(CEZ) 내에서 작전을 수행해 4호 원자로를 덮고 있는 석관 근처의 안전상태를 모니터링하고 있다고 밝혔다.

이번 조사는 지난 2월 발생한 의문의 폭발 사고에 대한 후속 조치로, 해당 부대는 방사선 검출기 등 장비를 들고 직접 현장에서 검사하고 샘플을 수집했다. 우크라이나 참모본부는 “방사능은 눈에 보이지 않는 적”이라면서 “체르노빌 지역의 잠재적 위험 증가를 방지하기 위해 계속 노력할 것”이라고 밝혔다. 보도에 따르면 아직 방사성 물질 유출 등 위험은 보고되지 않았으며 복구 작업은 계속 진행 중인 것으로 알려졌다.

이런 조치에 대해 현지 언론은 우크라이나가 지속적으로 체르노빌 원전을 안전하게 관리하고 있다는 것을 외부에 보여주는 것으로 분석했다. 앞서 지난 2월 14일 체르노빌 원전의 잔해가 보관된 격납시설에서 의문의 폭발이 발생한 바 있다. 당시 공개된 CCTV 영상을 보면 격납시설 지붕에 무엇인가 떨어지면서 폭발하는 생생한 모습이 담겼는데, 이에 대해 우크라이나는 러시아의 소행이라고 주장했다. 당시 볼로디미르 젤렌스키 우크라이나 대통령은 “러시아의 드론이 체르노빌 원전 4호기의 잔해가 보관된 시설을 공격했다”면서 “지금까지 방사능 수치는 증가하지 않았으나 초기 평가 결과 격납시설의 피해는 상당하다”고 비판했다.
반면 러시아는 이를 우크라이나의 자작극이라고 반박했다. 러시아 외무부 마리야 자하로바 대변인은 젤렌스키가 서방으로부터 더 많은 무기와 자금을 확보하기 위해 무섭고 피비린내 나는 위험한 공연을 벌였다”고 주장했다.

한편 체르노빌 원전 방사능 누출 사고는 1986년 4월 26일 구 소련(현재 우크라이나)의 키이우 남방 130㎞ 지점에서 일어났다. 이 사고로 인한 피폭(被曝)과 방사능 후유증 등으로 수십만 명의 사상자를 낳았으며 사실상 피해 집계가 불가능할 만큼 체르노빌은 인류 역사상 최악의 재앙으로 기록됐다. 사고 이후 주변 지역이 방사능에 오염되면서 인근 30㎞가 출입금지구역으로 지정돼 민간인은 물론 군 병력조차도 접근이 차단됐다.
박종익 기자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