단둘이 무슨 대화?…트럼프, 전용 리무진 ‘비스트’에 푸틴 태웠다

박종익 기자
박종익 기자
수정 2025-08-16 17:21
입력 2025-08-16 11:12
이미지 확대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과 블라디미르 푸틴 러시아 대통령이 비스트에 동승해 이동하고 있다. 로이터 연합뉴스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과 블라디미르 푸틴 러시아 대통령이 비스트에 동승해 이동하고 있다. 로이터 연합뉴스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이 블라디미르 푸틴 러시아 대통령을 극진히 환대하는 것을 보여주는 상징적인 장면이 포착됐다. 15일(현지시간) 미국 CNN 등 주요 언론은 트럼프 대통령이 푸틴 대통령을 자신의 전용 리무진 비스트에 태우는 이례적인 모습을 연출했다고 보도했다.

실제 이날 푸틴 대통령이 정상회담을 위해 알래스카 앵커리지의 엘멘도르프-리처드슨 미군기지에 도착하자 트럼프 대통령은 손뼉을 치고 악수했고, 이어 비스트로 안내해 동승했다. 특히 외신은 차 안에 통역관이나 보좌관이 없어 회담장으로 이동하는 약 10분 동안 둘만의 밀담을 나눴을 것으로 추정했다. 영국 인디펜던트는 “두 사람이 차 안에서 무슨 대화를 나눴는지 알 수 없지만 푸틴 대통령이 전직 KGB 출신으로 영어를 포함한 여러 언어에 능숙하다”고 보도했다. 또한 외신들은 트럼프 대통령이 푸틴 대통령을 위해 레드카펫을 깔았다는 점에도 주목했다.

이미지 확대
15일(현지시간)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오른쪽)과 블라디미르 푸틴 러시아 대통령이 알래스카 앵커리지의 엘멘도르프-리처드슨 미군기지에서 악수하고 있다. AFP 연합뉴스
15일(현지시간)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오른쪽)과 블라디미르 푸틴 러시아 대통령이 알래스카 앵커리지의 엘멘도르프-리처드슨 미군기지에서 악수하고 있다. AFP 연합뉴스


이에 대해 러시아 상원의원인 나탈리아 코시키나는 러시아 언론과의 인터뷰에서 “두 정상의 차량 이동은 높은 수준의 상호 신뢰를 보여주며 두 나라가 열린 대화를 할 준비가 됐다는 것을 의미한다”고 평가했다. 반면 민주당은 큰 충격을 받은 분위기다. 켄 마틴 민주당 전국위원회(DNC) 의장은 “트럼프가 푸틴을 매료시키기 위해 온갖 수단을 다했으며 우리의 가장 큰 적 중 한 명을 위해 레드카펫을 깔았지만 아무런 대가도 얻지 못한 듯하다”고 비판했다.

이미지 확대
도널드 트럼프(오른쪽) 미국 대통령과 블라디미르 푸틴 러시아 대통령이 15일(현지시간) 알래스카 앵커리지의 엘멘도프 리처드슨 합동기지에서 공동 기자회견을 갖고 악수하고 있다. TASS 연합뉴스
도널드 트럼프(오른쪽) 미국 대통령과 블라디미르 푸틴 러시아 대통령이 15일(현지시간) 알래스카 앵커리지의 엘멘도프 리처드슨 합동기지에서 공동 기자회견을 갖고 악수하고 있다. TASS 연합뉴스


한편 15일 미국 알래스카주 앵커리지의 엘먼도프 리처드슨 합동기지에서 푸틴 대통령과 회담한 트럼프 대통령은 공동 기자회견에서 “매우 생산적인 대화를 했다. 우리가 완전히 합의하지 못한 몇 가지 큰 것들이 있지만 일부 진전을 이뤘다“면서 ”조금 이따 대서양조약기구(NATO·나토)에 전화할 것이다. 젤렌스키 (우크라이나) 대통령에게 먼저 전화해 오늘 회담에 대해 말해주겠다“고 밝혔다.

반면 푸틴 대통령은 알래스카 정상회담 결과에 대해 “오늘 우리가 도달한 이해(understanding)가 우크라이나의 평화로 가는 길을 열어주기를 희망한다”면서 “우크라이나와 유럽 국가들이 건설적인 자세로 이 모든 것을 인식하고, 막후의 음모나 도발 행위 등으로 그 어떤 장애물도 만들지 않고, 새로운 진전을 방해할 시도도 하지 않기를 기대한다”고 말했다.

이미지 확대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과 볼로디미르 젤렌스키 우크라이나 대통령이 2월 28일(현지시간) 백악관에서 진행된 정상회담에서 논쟁 중이다. 로이터 연합뉴스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과 볼로디미르 젤렌스키 우크라이나 대통령이 2월 28일(현지시간) 백악관에서 진행된 정상회담에서 논쟁 중이다. 로이터 연합뉴스




이에 대해 워싱턴포스트(WP) 등 현지 언론은 사실상 ‘노딜 회담’이지만 정상회담 개최 자체가 푸틴 대통령에게는 선물이라고 비판했다. 특히 영국 가디언 등 외신은 푸틴 대통령을 향한 트럼프 대통령의 친근한 행동은 2월 백악관에서 볼로디미르 젤렌스키 우크라이나 대통령과 험악한 설전을 벌이는 장면과 극명한 대조를 이룬다고 평가했다.

박종익 기자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
에디터 추천 인기 기사
많이 본 뉴스
닫기
원본 이미지입니다.
손가락을 이용하여 이미지를 확대해 보세요.
닫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