북미·온라인에서 몸집 키운 ‘에이피알’… 아모레퍼시픽 제치고 K뷰티 ‘시총 1위’

  • 기사 소리로 듣기
    다시듣기
  • 글씨 크기 조절
  • 공유하기
  • 댓글
    0
김현이 기자
김현이 기자
수정 2025-08-10 23:50
입력 2025-08-10 23:50

주가 23만원… 시총 8조 7501억
아마존·틱톡샵 등 판매 전략 성공
美 비중 29%… 트렌드 세터 역할

이미지 확대


에이피알이 유가증권시장(코스피) 상장 1년 6개월 만에 화장품주 시가총액 1위에 올랐다. K뷰티의 중심지로 떠오른 북미에 집중했던 게 성과로 이어졌다는 분석이다.

10일 화장품 업계에 따르면 에이피알 주가는 지난 8일 23만원(종가 기준), 시총은 8조 7501억원으로 화장품 상장사 1위, 코스피 65위를 기록했다. 지난 6월 23일 LG생활건강을 제치고 화장품주 2위에 올라선 지 두 달도 안 돼 이달 6일 2분기 영업이익 846억원을 발표하며 아모레퍼시픽을 추월했다. 현재 LG생활건강은 코스피 시총 101위, 아모레퍼시픽은 75위다.

에이피알 성장세는 시총 25조원, 코스피 5위를 기록했던 2015년 아모레퍼시픽의 전성기에 비교될 정도다. 다만 무대가 중국과 면세에서 미국·온라인으로 옮겨갔다. 2년 전 미국 모델 헤일리 비버가 SNS에서 에이피알의 미용기기를 사용하는 모습이 노출돼 주목받았고, 이후 브랜드 인지도가 높아지며 해외 매출 비중이 지난해 말 55%에서 올해 2분기 78%로 뛰었다. 특히 미국 비중이 29%로 국내(22%)를 넘어섰다. 같은 기간 아모레퍼시픽의 서구권 매출 비중은 17.8%, LG생활건강의 북미 매출은 9% 수준이다.

미국에서 아마존, 틱톡샵 등 온라인몰 중심의 직접 판매 전략으로 오프라인 고정비를 줄이고 유행에 유연하게 대응할 수 있었던 점도 주효했다. 권우정 교보증권 애널리스트는 “미국에서 단순히 주류가 아닌 트렌드 세터 역할을 수행 중”이라면서 “7월 아마존 프라임 데이 행사에서 메디큐브(에이피알 브랜드)가 점유율 1위(9.3%)를 기록해 2~3위와 2배 가까운 격차를 보였다”고 했다.

에이피알은 하반기 미국 대형 뷰티 유통망인 ‘얼타 뷰티’ 입점으로 오프라인 확장에 나선다.

신재하 에이피알 부사장은 2분기 실적 콘퍼런스콜에서 “관세로 인해 전사 영업이익은 1% 이내 감소할 가능성이 있다”고 말했다.

김현이 기자
2025-08-11 18면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
에디터 추천 인기 기사
많이 본 뉴스
닫기
원본 이미지입니다.
손가락을 이용하여 이미지를 확대해 보세요.
닫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