초강력 규제에 127만여 가구 타격
‘노도강’ 등 7개區 뺀 18개區 영향권신생아특례 등 정책 대출 한도 줄어
강남3구·한강벨트 거래 뚝 ‘관망세’
10억 안팎 중저가 위주 매수세 늘 듯

정부가 지난 28일부터 수도권에 대해 6억원 이상 주택담보대출을 금지하고, 대출 시 6개월 내 전입 의무를 강제한 초강력 대출 규제를 시행하면서 부동산 시장이 급속하게 냉각되고 있다. 애초 계획을 수정해야 하는 구매자들이 발을 구르는 가운데 억누른 수요가 서울 외곽지역 중저가 아파트로 향할 수 있다는 관측도 나온다.
29일 부동산R114에 따르면 서울 전체 25개 구 가운데 평균 시세가 비교적 낮은 ‘노도강’(노원·도봉·강북구), ‘금관구’(금천·관악·구로구)와 중랑구 등 7개 구는 비교적 큰 타격을 받지 않을 것으로 전망됐다. 이곳은 현 시세 기준으로 주택담보대출비율(LTV) 70%까지 대출을 받아도 6억원 한도 규정을 넘지 않는 지역들이다. 하지만 다른 18개 구에서는 대출액이 종전보다 확 줄어들었다. 가구수로는 서울 시내 전체 재고아파트(임대아파트 제외) 171만 7384가구의 74%인 127만 6257가구가 타격을 받는다.
서울 아파트 평균 시세가 14억 6000만원 선인 것을 고려하면 LTV 70% 가정 시 이전엔 10억 2000만원까지 대출받을 수 있었다. 그러나 이제는 6억원까지만 대출을 받을 수 있다. 즉, 8억 6000만원 이상의 자기 자금이 있어야 입주가 가능하다는 의미다.
대출이 갑작스레 묶이면서 아파트 구입을 계획했던 이들 사이에서는 분통이 터져 나왔다. 올 하반기 결혼을 앞둔 송모(30)씨는 “너무 갑작스러운 규제에 세워 둔 계획이 다 틀어졌다. 예비 신랑과 집 후보지를 다시 정하고 있다”고 전했다. 신생아 대출 등 정책 대출 한도까지 줄어든 데 대한 비판도 이어진다. 다음달 출산휴가를 쓸 예정인 이모(34)씨는 “직장이 있는 구로구 쪽의 집을 살 예정이었는데 신생아 특례대출 한도가 1억원이나 낮아졌다. 일반 대출을 받기엔 이자 부담이 너무 큰데 어떻게 해야 할지 모르겠다”고 토로했다.
대출 규제 강화로 지난 5~6월 과열 양상을 보였던 강남3구와 한강벨트 지역 아파트 거래량은 숨고르기에 들어가는 분위기다. 강남구 역삼동의 한 공인중개사는 “규제 이후 가격이 내려갈 거라는 분위기에 따라 연말까지는 거래가 뚝 끊길 것”이라고 내다봤다. 성동구 성수동 지역의 공인중개사도 “지난주 신고가를 썼던 옥수동, 상왕십리, 성수동 등의 매물이 줄었다. 이들이 관망 수요로 전환할 것”이라고 말했다.
대출로 억누른 수요가 중저가 아파트로 흐를 것이란 예측도 나온다. 회원수 200만명이 넘는 온라인 부동산 카페 등에서는 이번 정책으로 인기를 끌 곳을 두고 벌써부터 갑론을박이 벌어지고 있다. 우선적으론 6억~8억원대에 매입할 수 있는 노도강과 금관구 등의 지역을 비롯해 대출을 최대한 받고 자기자본을 합쳐 이동하기 수월한 10억원 안팎 아파트들이 대상으로 꼽힌다. 대출 규제에 큰 타격을 받지 않을 것으로 보이는 노원구의 한 공인중개사는 “풍선효과로 이 지역 아파트 가격도 출렁일 수 있을 것”이라고 예상했다.
김기중·손지연 기자
2025-06-30 6면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