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망보험금 생전에 써 보자”…생보사 5곳 ‘사망보험 유동화 서비스’ 오늘부터 신청

  • 기사 소리로 듣기
    다시듣기
  • 글씨 크기 조절
  • 공유하기
  • 댓글
    0
박소연 기자
수정 2025-10-30 14:00
입력 2025-10-30 14:00
이미지 확대
사망보험금 1억원 70% 유동화 예시
사망보험금 1억원 70% 유동화 예시


삼성생명·한화생명·교보생명·신한라이프·KB라이프 등 5개 생명보험사가 30일부터 사망보험금을 생전에 활용할 수 있는 ‘사망보험금 유동화 서비스’를 새로 선보였다. 보험계약자가 사망보험금을 연금자산으로 전환해 노후 소득 공백에 대비할 수 있도록 한 제도로, 이번에 5개사가 1차로 도입했다.

유동화 대상은 종신보험 계약자 중 사망보험금이 9억원 이하인 계약으로 총 41만 4000건, 가입금액 기준 약 23조 1000억원 규모다. 고연령일수록 수령액이 많으며, 개시 시점과 수령 기간을 자유롭게 설정할 수 있다. 필요할 경우 유동화를 중단하거나 조기 종료, 재신청할 수도 있지만 한 번 유동화를 시행하면 사망보험금을 다시 복구할 수는 없다.

금융위원회는 생애주기에 따라 유동화 형태를 맞춤 선택할 수 있다고 설명했다.

예를 들어 매월 25만 5000원을 10년간 납입한 사망보험금 1억원 계약자는 노후 생활비 목적일 경우 유동화 비율을 90%로 높이고 30년 동안 수령하도록 하면 연평균 약 168만원씩 총 5031만원을 받게 되며, 종료 시점에는 1000만원의 사망보험금이 남는다.

반면 의료·요양비 등 단기간 목돈이 필요하면 유동화 비율을 80%, 기간을 5~10년으로 설정해 연평균 500만~960만원 수준의 현금이나 요양 서비스로 받을 수 있다.

유족 보장을 중시할 경우 유동화 비율을 50%로 낮춰 생전에는 연평균 356만원(총 3562만원)을 수령하고, 나머지 5000만원은 신탁 형태로 남겨 유족이 상속 설계나 생활자금으로 활용할 수 있다.



이억원 금융위원장은 이날 서울 태평로 한화생명 시청 고객센터를 방문해 “사망보험금 유동화는 처음 시행되는 제도”라면서 “소비자가 자신의 재정 여건과 노후 계획에 맞게 비율과 기간을 선택할 수 있도록 시뮬레이션과 비교 안내를 상세히 해달라”고 당부했다.

박소연 기자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
에디터 추천 인기 기사
많이 본 뉴스
닫기
원본 이미지입니다.
손가락을 이용하여 이미지를 확대해 보세요.
닫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