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김밥 먹었는데 고열·복통”… 130여명 식중독 증상

  • 기사 소리로 듣기
    다시듣기
  • 글씨 크기 조절
  • 공유하기
  • 댓글
    0
이정수 기자
이정수 기자
수정 2025-07-12 14:05
입력 2025-07-12 14:05
서초구 김밥집 휴업… 보건당국, 역학조사
이미지 확대
김밥 자료사진. 사진은 기사 내용과 무관함. 픽사베이
김밥 자료사진. 사진은 기사 내용과 무관함. 픽사베이


서울 서초구의 한 김밥집을 이용한 손님 130여명이 고열과 복통 등 식중독 증상을 호소해 보건당국이 역학조사에 나섰다.

서초구청은 방배동 소재 한 김밥집에서 김밥을 먹고 고열·복통 증세가 나타났다는 신고를 지난 9일 접수했다고 12일 밝혔다.

현재까지 구청에서 파악한 식중독 의심자는 130여명에 달하는 것으로 파악됐다.

앞서 소셜미디어(SNS)에는 지난 5일부터 해당 가게 김밥을 먹고 식중독 증상이 나타났다는 게시글이 올라왔다.

해당 가게는 지난 8일부터 휴업에 들어간 상태다.

구청은 역학조사를 통해 정확한 원인을 확인하고, 결과에 따라 영업정지 등 행정처분을 검토한다는 방침이다.

한편 기온이 높은 여름철엔 살모넬라로 인한 식중독이 증가해 주의가 요구된다.

식품의약품안전처에 따르면 2020년 이후 5년간(지난해는 잠정) 살모넬라로 인한 식중독은 총 204건 발생했다. 환자 수는 7788명이었다. 이 중 7~9월 여름철 발생 건수가 107건, 4542명으로 과반인 것으로 분석됐다.

살모넬라 식중독이 발생한 장소는 음식점 129건(63%), 집단급식소 35건(17%), 즉석판매제조·가공업 10건(5%) 순으로 나타났다. 주요 원인 식품으로 달걀말이, 달걀지단 등 달걀 조리식품과 김밥, 도시락 등 복합조리식품 등이 높은 비율을 차지했다.

살모넬라는 가금류·포유류의 소화관 또는 물과 토양에 존재하는 병원성 세균이다. 살모넬라에 오염된 식품을 섭취하는 경우 발열, 복통, 구토, 설사 등 증상을 일으킬 수 있다. 달걀, 알 가공품 등 식재료 취급·보관 관리에 각별한 주의가 필요하다.

음식을 조리할 때 달걀·육류·가금류를 만지거나 달걀물(액란) 등이 묻은 손은 반드시 흐르는 물에 비누 등 세정제로 30초 이상 깨끗이 씻어야 하며 교차오염이 발생하지 않도록 다른 식재료, 조리된 음식 또는 조리기구를 만지지 않도록 주의해야 한다.

이정수 기자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
에디터 추천 인기 기사
많이 본 뉴스
121년 역사의 서울신문 회원이 되시겠어요?
닫기
원본 이미지입니다.
손가락을 이용하여 이미지를 확대해 보세요.
닫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