엄청나게 ‘큰 코’ 가진 신종 공룡 리노렉스 발견

수정 2014-09-22 18:54
입력 2014-09-22 18:13
이미지 확대
얼굴 대부분을 차지하는 엄청나게 ‘큰 코’가 인상적인 신종 공룡 화석이 발견돼 화제를 모으고 있다.

미국 내셔널 지오그래픽 뉴스는 노스캐롤라이나 자연사 박물관·브리검 영 대학 화석학 박물관 고생물학 공동 연구진이 유타 주(州) 넬슨 층(Neslen formation)에서 베일에 싸여있던 신종 공룡 리노렉스(Rhinorex)의 완벽에 가까운 두개골 화석을 발굴하는데 성공했다고 최근 보도했다.

본래 해당 화석은 1990년대 중반 같은 연구진에 의해 해당 지역에서 최초 발견되었으나 당시는 일부분만 출토된 것이었고 최근 2년간 연구진들이 섬세한 복원과정을 거친 끝에야 온전한 형태로 거듭날 수 있었다.

이미지 확대
연구진에 따르면, 리노렉스는 백악기 후기인 7500만년 전 생존했던 공룡으로 몸길이 약 9m, 몸무게는 3.8~4톤 정도였다. 주로 늪이나 해안환경에 서식하며 식물을 먹는 초식공룡이었는데 미국 뉴저지 주의 하돈필드에 처음 화석이 발견됐던 백악기 전기 초식공룡 하드로 사우루스(Hadrosaurus)와 상당히 유사하다.

정작 리노렉스의 가장 큰 특징은 얼굴 대부분을 차지하는 압도적인 ‘코 크기’인데 거의 얼굴의 3분의 1을 차지할 정도다. 이 압도적 크기의 코가 무슨 역할을 했는지에 대해서는 연구진들 사이에서도 해석이 엇갈리고 있지만 뛰어난 후각능력을 발휘했을 것이라는 의견이 많은 편이다.

하지만 발굴을 주도한 노스캐롤라이나 자연사 박물관 고생물학자 테리 게이츠 박사는 “코 크기가 워낙 커서 냄새를 잘 맡기 위한 용도일 것이라는 해석이 많지만 꼭 그런 가능성만 있는 것은 아니다”라며 “해당 종의 구성원임을 나타내는 표시이거나 동료끼리 서로를 알아보는 신호 같은 용도로 쓰였을 수도 있다”고 설명했다. 즉, 아직까지 리노렉스의 큰 코가 무슨 역할을 했는지는 미스터리로 남겨져 있는 상황이다.

한편 이 연구결과는 국제학술지 ‘조직 고생물학 저널(Journal of Systematic Paleontology)’에 발표됐다.



사진=NC State University/Gates and Scheetz

조우상 기자 wscho@seoul.co.kr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
에디터 추천 인기 기사
많이 본 뉴스
121년 역사의 서울신문 회원이 되시겠어요?
닫기
원본 이미지입니다.
손가락을 이용하여 이미지를 확대해 보세요.
닫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