완도형 바다 연금 사업 탄력받나

  • 기사 소리로 듣기
    다시듣기
  • 글씨 크기 조절
  • 공유하기
  • 댓글
    0
류지홍 기자
류지홍 기자
수정 2025-11-07 01:02
입력 2025-11-07 01:02

IPCC, 탄소 흡수원 보고서 승인

전남 완도군은 해조류 블루카본 탄소 거래를 통해 창출된 수익을 지역민에게 지급하는 일명 ‘완도형 바다 연금’ 사업 추진이 탄력을 받게 됐다고 6일 밝혔다.

기후변화에 관한 정부 간 협의체(IPCC)는 지난달 27일부터 4일간 페루 리마에서 열린 제63차 총회에서 2027년 발간 예정인 ‘이산화탄소 제거/탄소 포집·활용 및 저장 방법론 보고서’의 개요를 승인했다. 갯벌과 해조류 등을 새로운 탄소흡수원으로 인정하는 보고서 개요의 승인에 따라 보고서가 발간되면 해조류가 탄소흡수원으로 최종 결정될 전망이다.

완도군은 그동안 해조류의 탄소 거래를 통해 창출된 수익을 어업인에게 지급하는 완도형 바다 연금 사업을 위해 해조류의 탄소흡수원 인정을 위해 다양한 노력을 기울여왔다. 최근에는 한국수자원공단과 함께 어업인에게 활동비를 지원하고 해조류 양식시설을 통해 이산화탄소 흡수량을 크레딧으로 산정하는 탄소 거래 사업인 ‘어업인 블루크레딧’ 시범사업을 추진하고 있다.

어업인이 해조류 양식·관리 활동을 통해 확보한 탄소 흡수량을 탄소 크레딧으로 전환·거래해 소득으로 환원하는 가칭 ‘바다 연금’ 제도화에 나선 것이다. 해조류가 탄소흡수원으로 확정되면 완도군의 어업인 블루크레딧 사업과 완도형 바다 연금 사업도 본격화될 전망이다.

완도군은 앞으로 해조류 종자 수급·공급센터와 탄소 흡수 인증·거래 및 정산 체계(MRV) 구축 등을 단계적으로 추진하는 등 해조류 블루카본 경제 생태계 기반을 선도적으로 마련해 나갈 계획이다. 완도의 청정 해양환경과 친환경 양식 체계를 기반으로 대규모 해조류 양식장과 해상풍력, 수산업이 공존하는 해상풍력단지 내 유휴 해역을 활용한 ‘블루카본 특화 양식 해역’도 조성한다.



이와 함께 해조류 블루카본 TF팀과 탄소 흡수 벨트 협의회를 구성해 정부와 관련 연구기관, 전문가 등 정책·기술 네트워크를 구축, 완도를 국제 해조류 블루카본의 허브로 조성할 방침이다.

완도 류지홍 기자
2025-11-07 27면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
많이 본 뉴스
닫기
원본 이미지입니다.
손가락을 이용하여 이미지를 확대해 보세요.
닫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