포스코, 인도 JSW그룹 손잡고 600만t 일관제철소 짓는다

  • 기사 소리로 듣기
    다시듣기
  • 글씨 크기 조절
  • 공유하기
  • 댓글
    0
손지연 기자
손지연 기자
수정 2025-08-19 00:44
입력 2025-08-19 00:44

뭄바이서 ‘주요 조건 합의서’ 체결
지분 각각 절반… 오디샤주에 건설

인도행 도전 다섯 번째 만에 성사
현지 수요 2030년 1.9억t 이를 듯
상공정 중심 ‘완결형 현지화’ 추진

이미지 확대


포스코그룹이 인도 1위 철강사인 JSW그룹과 손잡고 인도 현지에 연간 생산량 600만t 규모의 일관제철소를 건설한다. 인도가 전 세계 철강 소비량 2위 국가인 만큼 현지 생산 역량을 강화하겠다는 계획이다.

포스코홀딩스는 최근 인도 뭄바이에서 JSW그룹과 사업 협력을 위한 ‘주요 조건 합의서’(HOA)를 체결했다고 18일 밝혔다. HOA는 주요 계약 조건에 대한 사전 계약 성격을 가지고 있어서 본계약으로 연결될 가능성이 높으며 법적 구속력을 가진다.

앞서 양사는 지난해 10월 ‘철강 및 이차전지 소재 분야 등 사업 협력에 관한 양해각서(MOU)’를 맺은 바 있다. 당시 양사는 제철소 건설을 비롯해 이차전지 소재, 재생에너지 분야 등 여러 방면에서 협력하기로 합의했다. 이번 HOA는 제철소 건설 지역과 생산 규모 등 협력 방안을 구체화한 단계다.

이 합의로 양사는 합작법인 형태의 일관제철소를 인도 오디샤주에 건설할 예정이다. 일관제철소는 철광석을 녹인 쇳물로 반제품을 만드는 ‘상공정’과 반제품을 가공해 최종 제품을 생산하는 ‘하공정’을 모두 할 수 있는 제철소다. 지분은 포스코와 JSW그룹이 각각 50%씩 가진다. 연간 조강 생산량은 600만t이다. 양사는 제철소 건설에 속도를 내기 위해 최고경영진이 참여하는 정기 교류회를 신설해 사업 진행 현황을 지속적으로 점검할 계획이다.

포스코그룹의 인도 도전은 이번이 다섯 번째다. 포스코는 2005년부터 네 차례 인도 진출에 도전했지만 현지 주민들의 반대에 부딪히거나 투자가 무산되면서 고배를 마셨다. 포스코가 인도 진출에 집중한 이유는 인도의 철강 소비량이 중국에 이어 전 세계에서 두 번째로 많기 때문이다. 여기에 최근 3년 동안 철강 소비량이 매년 9~10% 늘었다. 철강 전문 분석 기관 WSD에 따르면 인도의 철강 수요는 2030년 1억 9000만t에 이를 것으로 예상된다.

포스코는 인도 외에도 북미 등 상공정 중심의 해외 투자를 확대하고 ‘완결형 현지화 전략’을 추진하고 있다. 지난 4월에는 현대차그룹의 미국 루이지애나주 일관제철소 건설에 지분 투자를 하기로 했다.



이주태 포스코홀딩스 사장은 “인도는 전 세계 철강 시장의 핵심 성장축으로 양사의 오랜 신뢰 관계가 인도 일관제철소 건설이라는 결실로 이어졌다”며 “한국과 인도 1위 철강기업의 협업이 양국 산업 발전에도 기여할 수 있도록 노력하겠다”고 말했다.

손지연 기자
2025-08-19 14면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
에디터 추천 인기 기사
많이 본 뉴스
닫기
원본 이미지입니다.
손가락을 이용하여 이미지를 확대해 보세요.
닫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