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투 손익차등형 펀드 수익률 조기 달성

최재성 기자
수정 2025-07-23 23:51
입력 2025-07-23 23:51
한국투자증권

한국투자증권 제공
한국투자증권은 최근 손익 차등형 공모펀드들이 연이어 목표 수익률을 달성하며 조기 상환되고 있다고 23일 밝혔다. 철저한 성과 중심 구조가 투자자들의 신뢰를 얻고 있다는 평가다.
손익 차등형 구조는 고객이 먼저 수익을 가져가고 손실은 후순위 투자자가 우선 부담하는 것이 특징이다. 지주사인 한국투자금융그룹이 자체 자금을 후순위로 출자해 위험을 분담한다. 한국투자증권 측은 이같은 방식이 수익률 제고는 물론 투자자들의 손실을 줄일 수 있는 방법이라고 설명했다.
실제로 2023년 8월 처음으로 출시한 손익 차등형 공모펀드 ‘한국투자글로벌신성장펀드’는 당초 3년 만기 상품으로 설정됐지만 지난해 11월 목표 수익률 20%를 달성하며 조기 상환됐다. 지난 4월에는 ‘한국투자글로벌인공지능(AI)빅테크펀드’도 조기 상환에 성공했다.
최근에는 그룹 내 가치주 공모펀드 전문 자산운용사인 한국투자밸류운용이 운용하는 손익 차등형 펀드도 잇따라 조기 상환을 달성하고 있다. ‘한국밸류 K-파워펀드’는 지난달 25일 기준 20% 목표 수익률을 달성, 약 8개월 만에 조기 상환이 확정됐다.
손익 차등형 공모펀드의 성공 사례가 이어지면서 최근 출시한 ‘한국투자글로벌넥스트웨이브 펀드’도 투자자들의 관심을 모으고 있다. 글로벌 경기 반등과 함께 수혜가 예상되는 저평가 기업에 집중 투자하는 상품이다. 3년 운용 기간 내 수익률 15%를 달성하면 조기 상환된다. 이미 500억원에 육박하는 자금을 모으며 순항하고 있다는 게 한국투자증권 측의 설명이다. 김성환 한국투자증권 사장은 “앞으로도 글로벌 표준에 부합하는 상품과 서비스를 지속적으로 선보여 고객 수익률을 극대화하겠다”고 말했다.
한편 한국투자증권의 개인고객 금융 상품 잔고는 2023년 말 기준 53조 4000억원에서 지난해 말 67조 8000억원으로 1년 만에 15조원 가까이 증가했다. 올해 1분기 기준 72조원을 돌파해 추가 성장 가능성에 대한 기대감을 키우고 있다.
최재성 기자
2025-07-24 39면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